목적
English Page

세종 문화회는 미국에 사는 사람들 사이에 한국의 문화 유산의 인식과 이해를 증진 시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저희는 한국의 얼이 포함된 현대 음악 , 문학, 예술을 서양의 매개체를 통하여 표현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읍니다.

저희가 주관하는 여러 사업들은 여러 인종 , 여러 문화가 한데 섞여서 있는 미국사회 에서 자라나는 어린이들과 학생들을 가장 중요한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저희는 저희들의 여러 사업들을 통하여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민족들 간에 조화를 증진시키고 한국과 미국의 문화를 연결 시켜주며 나아가 한국의 찬란한 문화유산이 미국 주류 문화의 한 구성 인자로 자리잡아 이 나라의 문화를 더욱 윤택하고 풍부하게 만들어 우리 후세들은 물론 그들의 타인종 이웃 과 친구들 또한 더욱 풍요로운 문화를 누리는 것을 목적으로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이민자들의 나라입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이민자들의 후예들의 나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민자 일세들은 새로 입주한 이 나라에 발을 부치기 위하여 이나라의 기존 문화를 배우고 적응하는 데에 모든 힘을 쏟아야 했습니다. 그러나 일단, 일세들이 이 나라에 발을 부쳐서 새 환경과 문화에 익숙해 지고 그들의 자리를 확보한 후에는 그들의 피속에 흐르고 있는 그들이 떠나온 모국의 아름다운 전통과 문화를 후세들은 물론이고 그 후세들의 이웃과 친구들인 타인종 들에게도 소개 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게 됩니다.

세종문화회는 한국의 빛나는 문화가 미국의 주류 기성 문화안에 한 구성 인자로서 뿌리 내려 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우리 후세들이 우리 모국인 한국의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더욱 잘 이해하여 그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되기를 바라며 또 그와 동시에 미국 주류 문화가 한국의 찬란한 문화를 구성 요인으로 받아드려 마국 주류 문화가 더욱 부유해 져서 우리 후세들과 그들의 이웃과 친구들인 모든 타인종 들도 더욱 풍부하고 윤택한 문화를 누리기를 바라며 여러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며 노력하고 있습니다 .

 

세종 문화회 소개

세종문화회 2004 - 2019 활동 보고서 (2019년 연례 모금 만찬 프로그램북에 게재).
(E-Book PDF version)
(아래스크린 정중앙의 Full Screen 심볼을 클릭하면 크게 확대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비영리 사단 법인

세종 문화회는 미국 일리노이 주법에 의해 비영리 단체로 2004년도에 설립되었고
미국 Internal Revenue Service 로 부터  501(c)(3) 자선 단체로 허가 받았습니다.

 

세종문화회 사업 소개

기본 사업

세종 음악 경연 대회

세종 작문 경연 대회 (수필 및  시조 부문)

세종 국제 작곡 경연대회 ("세종상")

영어로 시조쓰기 워크샵 및 세미나

미국 학교 교사들을 위한 시조교육 수업자료 개발 및 배포

 

특별 사업

한국의 얼이 들어간 현대음악 작곡 의뢰 및 음악 연주회

시조를 바탕으로 한 현대곡 작곡의뢰 및 연주회 개최

 

현재 진행중인 사업:

미국 교사들을 위한 시조교육 영어 참고서 집필

 

완료한 사업들

1. 세종 음악 경연 대회 및 수상자 연주회 (피아노, 바이올린): 

제 16회 (2019년 11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Claudia Cassidy Theater, Chicago Cultural Center
제 15회 (2018년 11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Claudia Cassidy Theater, Chicago Cultural Center
제 14회 (2017년 11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Claudia Cassidy Theater, Chicago Cultural Center
제 13회 (2016년 12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Claudia Cassidy Theater, Chicago Cultural Center
제 12회 (2015년 12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Claudia Cassidy Theater, Chicago Cultural Center
제 11회 (2014년 12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Claudia Cassidy Theater, Chicago Cultural Center
제10회 (2013년 12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Claudia Cassidy Theater, Chicago Cultural Center
제  9회 (2012년 12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Claudia Cassidy Theater, Chicago Cultural Center
제  8회 (2011년 12월) 대회: FIne Arts Building PianoForte Studios, 연주회: Lutkin Hall, Northwestern University
제  7회 (2010년 12월) 대회: FIne Arts Building PianoForte Studios, 연주회: Lutkin Hall, Northwestern University
제  6회 (2009년 12월) 대회: FIne Arts Building PianoForte Studios, 연주회: Ganz Hall, Chicago
제  5회 (2008년 11월) 대회: FIne Arts Building PianoForte Studios, 연주회: Ganz Hall, Chicago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제  4회 (2007년 11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Ganz Hall, Chicago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제  3회 (2006년 11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Ganz Hall, Chicago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제  2회 (2005년 11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Ganz Hall, Chicago
제  1회 (2004년 11월) 대회: UIC Performing Arts Center. 연주회: Ganz Hall, Chicago

2. 세종 작문 경연 대회 (영문 수필 / 영문 시조 부문): - 한국문학번역원 재정후원

제 16회 (2021년 3월)   (수필 / 시조 부문) : 준비 중
제 15회 (2020년 3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14회 (2019년 3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13회 (2018년 3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12회 (2017년 3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11회 (2016년 2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10회 (2015년 2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9회 (2014년 1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8회 (2013년 1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7회 (2012년 3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6회 (2011년 3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5회 (2010년 6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4회 (2009년 6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3회 (2008년 6월)  (수필 / 시조 부문) : 수상자 명단 (수필 / 시조) 및 수상작품
제 2회 (2007년 5월)  (영어 수필) : 수상자 명단수상작품
제 1회 (2006년 5월)  (영어 수필) : 수상자 명단수상작품

3. 세종 국제 작곡경연대회

제 4회 (2014년 8월- 2015년 6월) - Title "Sejong Prize" - 세종 국제 작곡 경연대회 - 수상자 명단
제 3회 (2011년 8월- 2012년 6월) - Title "Sejong Prize" - 세종 국제 작곡 경연대회 - 수상자 명단
제 2회 (2008년 6월) - Title 세종 국제 작곡 경연대회 -
수상자 명단
제 1회 (2005년 6월) - Title 한미 작곡 경연대회, - 수상자 명단

 

4. 특별음악회

Chicago Downtown 에서 유서깊은 Rush Hour Concert Series 에서 시조를 테마로 한 음악회 개최
(2019년 7월30일, Chicago)



Poetry Foundation 강당에서 시조를 배경으로 한 음악회 개최
(2017년 10월21일, 시카고 한국 총영사관 후원)

 

 

시조 힙합 뮤직 동영상 제작 (Elephant Rebellion hip-hop group)

세종문화회 기금모금 연주회 2010년 5월 8일 (링컨 트리오 연주) - 연주 동영상

세종기금모금 연주회 2009년 5월 30일 (링컨 트리오 연주) - 연주 동영상 

"동양과 서양이 만나다" - Special Concert, Music with Korean Themes (August 19, 2006) "Music of Korean Composers" - Special Concert, Music Institute of Chicago (Mar 12, 2005) - 뉴스 취재 동영상

한국의 이건용 교수와 이병은 교수의 곡들을 모아 Music Institute of Chicago faculty member 들이 연주 - 연주 동영상

5. 영어로 시조 쓰기 교육 및 홍보

2012년 11월 시조, 음악, 와인을 곁들인 시조 낭송회
2012년 11월 영어 교사들을 위한 영어로 시조 쓰기 워크솹
2012년 11월 Poetry Foundation 에서 시조 강좌
2011년 11월 시조, 음악, 와인을 곁들인 시조 낭송회
2011년 11월 영어 교사들을 위한 영어로 시조 쓰기 워크솹
2011년 11월 영어로 시조 쓰기 소개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National Convention in Chicago.
2010년 4월 시조, 음악, 와인을 곁들인 시조 낭송회
2010년 4월 일반인 들을 위한 시조 소개 강좌
2010년 4월 영어 교사들을 위한 영어로 시조 쓰기 워크솹 - KBS2뉴스 취재 동영상

 

6. 미국의 영어교사 들을 위한 "영어로 시조 쓰기 가르치기 교재" 제작

- 한국학 중앙연구원,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재정 지원과 시카고 총영사관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제작 완료
- 세종문화회가 제작한 시조 강의 동영상 보기:

YouTube 에 올려 있는 시조 교육 관련 동영상 리스트 (PLAY LSIT - 18 동영상)

      |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시조강의 동영상 |
      | 마크 피터슨 교수의 시조 강의 동영상 |
      | 데이빗 맥켄 교수의 시조 강의 동영상 |
     | 고등학교 시조수업 현장 방문, 시조교육 촬영 |
- 영어 교사들을 위한 시조 교육 자료들을 웹사이트에 올려 놓음
- 시조를 힙합으로 만들어 노래 부르기 - 뮤직 비데오 제작

 

완료한 기본 행사들 소개

(A)  세종음악경연대회 (2004년 부터 매년 실시)

이음악경연대회의 목적은 음악에재능이탁월한 청소년들을  (18 세 미만) 발?굴하고 그들이 한국의선율이 들어있는 음악을 서양악기로 연주하도록 권장 하는 것입니다.

세종음악 경연대회를 위해 강순미 교수님, 허금옥 작곡가님이 특별히 지정곡을 작곡하여 보내 주셨고 이건용 교수님과 유병은 교수님도 한국의 운율이 들어간 곡들을 지정곡으로 쓸수 있도록 보내 주셨습니다.

한인 이세뿐 아니라 서양 학생들이 많이 (>42% in 2007) 참가 하였으며 미중서부에서는 권위있고 경쟁이 센 어려운 경연대회로 음악선생님들과 학생들 사이에 평이나 있읍니다.

2004년 및2005년 에는 피아노 와 바이올린 부문만, 2006년도 - 2009년도에 첼로 부문을 추가하여 실시 하였습니다.
2010년 부터 다시 피아노와 바이올린 부문만 개최 하였습니다.

2010년부터 초등부 (Elementary Division) 를 추가 하여 피아노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와 바이올린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로 나누어 실시함. 총 6 부문

2012년부터 유년부 (Primary Division)를 추가 하여 피아노 - 유년부,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와 바이올린 - 유년부,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로 나누어 실시함. 총 8 부문


(B) 세종 작문경연대회 (2006년 부터 매년 실시)

작문경연대회의 목적은 문학에 재능이 탁월한 청소년들을 (18 세 미만) 발굴하고 그들이 한국에 관한 글을 쓰거나 한국의 문학, 전래 동화들을 읽어 한국의 문화를 배우고 한국에 대해 생각하는것을 장려하는경연 대회입니다.참가 학생들의 학교선생님들과 가족들도 한국에대해 배우는 기회가될수 있?읍니다. 2006년과 2007년도에는 영문 수필 부문을 실시하고 2008년도에 영문 시조 부분을 추가 하였습니다.

2006 - 2007년의 수상작들을 모은 책자를2008 년 초에 발간 하였읍니다.

2008년의 수필 부문은 한국 전래 동화를 읽고 (저희 website에 10 개의 영문으로 번역된 한국동화가 올라가 있읍니다) 영문 수필을 쓰는 것이었읍니다. 2008년도 에 처음 으로 추가된 시조 부문은 하바드 대학의 한국학 연구소가 후원하여 시작 하게 되었습니다. (첨부된 문서 "시조의 세계화" 를 참조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09년에는 시조부문에 450 편이 수필부문에는 400편이 응모 하였읍니다. 참가자들은 미국 전역에서왔고 비한국계가 약90%로 추정됩니다. 많은 고등학교 영어 선생님들이 시조를 학교 에서 가르치고 학생들의 작품들을 제출시켰읍니다.

2010년도 작문경연대회는 작문경연대회 공고문을 21,600 여명이 넘는 전국 50주의 영어 선생님들에게 발송하였습니다. 20,000 여통의 메일 을 보낼 수 있도록 Pacific Rim Foundation의 임관헌 선생님께서 우펀 경비를 지불해 주셨습니다.

2011년도 작문경연대회에도 작문경연대회 공고문을 21,000 여명이 넘는 전국 50주의 영어 선생님들에게 발송하였습니다. 20,000 여통의 메일 을 보낼 수 있도록 Pacific Rim Foundation의 임관헌 선생님께서 우펀 경비의 일부를 보조해 주셨습니다. 1,400 명이 미국 39개 주에서 응모 하였습니다.

2012년도 경연대회부터 카나다에 거주하는 학생들도 참가 할 수 있도록 참가 범위를 넓혔습니다.

2013년 세종 작문경연대회 (2013년 1월31일 마감) 부터 청년부 (25 years and younger) 을 추가 하였습니다. 이 대회의 수필 부문 고등부와 청년부에서는 이문열 작가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영문 번역판 (Our Twisted Hero)를 읽오 수필을 쓰도록 하였습니다.

2019년 경연대회 부터 청년부 나이를 현 25세에서 30세로 올렸습니다. 또 시 조무분에 Adult Division을 추가하여 18세 이하 division과 19세 이상 division으로2 division으로 나누어 실시합니다.

(C) 세종 작곡경연대회 (2005, 2008, 2012, 2015)

이경연 대회를통해 전 세계의 작곡가들에게 (연령 제한 없음) 한국적인 선율과 장단이 들어간 음악을 작곡하는것을 장려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대회에 제출된 작품중에서 수상작과  다른 선정된 작품들이세종음악 경연대회에서 지정곡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005년도 작곡 경연 대회에 참가한 작곡가들은 약 3분의1 이 한국에사는 한국인, 다른3분의 1 이 미국에사는 한국인, 나머지3분의 1 이외국인 (미국과 유럽)들이었읍니다. 장려상을 받으신 미국인 작곡가 David Evan Jones 교수님 (현재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의 부총장) 께서는 이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한국의 국악을 듣고 연구를 하였으며 (한국말로 나온 책들과 CD들을 한인 친구에게 번역을 부탁하였답니다. )  그후로는 대학과 국제 symposium에서 한국의 음악에 대한 강의를 여러번 하고 작곡도 여러곡을 (한국적) 했다고 합니다.

(D) 특별음악회,

1. "동양과 서양이 만나다" - Special Concert, Music with Korean Themes (August 19, 2006) 

Chicago 시정부에서 주관한 "Silk Road Chicago" (전세계의 문화를 소개하는 행사) 의 일환으로 2005 년 작곡경연 대회 수상작과 한국의 저명한 작곡가 들의 음악을Chicago 지역이 유명한 음악가들이 연주 하였읍니다.  John Bruce Yeh (Chicago Symphony Orchestra 클라리넷 부악장), Yumi Hwang Williams (Colorado Symphony Orchestra 악장), Desiree Ruhstrat, David Cunliffe, Matt Hagel, Sel Kardan (all from the Music Institute of Chicago 교수진) 이 연주를 했읍니다.

2. "Music of Korean Composers" Special Concert, Music Institute of Chicago (Mar 12, 2005)

한국예술종합대학 작곡과 이건용 교수와 유병은 교수의 음악을 미국의 유명한 음악가들이 연주하는 특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미국주류 음악계에 한국 작곡가들의 음악을 소개 하였습니다.  한국의 박영사 출판사의 재정 후원으로 이음악회를 마련하였읍니다.

 

(E) 시조 홍보및 교육 행사

2010년 4월 영어 교사들을 위한 영어로 시조 쓰기 워크솹 - 일리노이 주립대학 시카고 케퍼스의 English Department 와 공동으로 주최하여 Harvard 대학 한국학 연구소 소장 David McCann 교수를 모시고 고등하교 영어 교사들을 주 상대로 워크샵 개최
2010년 4월 일반인 들을 위한 시조 소개 강좌 - 시카고공립 도서관, Harold Washington Library Center와 공동으로 "시의 달 4월 행사" 의 일환으로 일반인들을 위한 시조 세미나를 도서관에서 가짐.
2010년 4월 시조, 음악, 와인을 곁들인 시조 낭송회 - 시카고 Downlown 에 있는 Andrew Bae Gallery의 후원으로, Andrew Bae Gallery에서 음시과 막걸리를 곁들여 그림들도 감상하며, David McCann 교수와 시카고 한미 TV의 박원정 제작 부장의 시조 낭송과 진성수피리연주자의 피리 반주및 독주의 연주를 감상하였습니다.

2011년 부터 LA 에 본부를 둔 KAFE (Korea Academy for Educators) 와 협력하여, KAFE 의 고등학교 교사들을 위한 한국 문화 알리기 교육 세미나에서 세종문화회가 시조강의를 맡아 하고 있습니다. 2012년도 부터는 시조 강의와 한국 문학 강의를 세종문화회가 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 달라스에서 세종문화회 주최로 영어교사들을 위한 시조 워크샾을 개최했습니다.

2012년 11월에 1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의 Poetry Foundation에서 처음으로 시조에 관한 강의를 David McCann 교수 (하바드 대학)를 초빙하여 실시하였으며, 세종문화회와 Chicago Harvard Club이 이 시조 강연회를 특별 후원하였습니다.

 

(F) 세종문화회 연례 모금 만찬

2019 - 2019년 9월 15일 Drury Lane, Oakbrook Terrace, IL Keynote Speaker: Prof: Mark Peterson
download programbook

 

세종 문화회 조직:

집행진 - 회장단 (Jul 2019- June 2021):

공동 회장: Hyunil Juhn 전현일 & Yousim Oh Kim 오유심
부회장: Sook Park 박 숙
서기이사: Mark Choh
재무이사: Esther Yang
사무 총장: Lucy Park 루시 박
이사장: Ho Kim 김호범

Past Presidents:
1st 2004 (창립) - 12/31/2006 Hyunil Juhn
2nd 1/1/2007 - 6/30/2009 Ho Kim
3rd 7/1/2009 - 6/30/2011 Ho Kim
4th 7/1/2011 - 6/30/2013 Juliana Chyu
5th 7/1/2013 - 6/30/2015 Juliana Chyu
6th 7/1/2015 - 6/30/2017 Yousim Oh Kim
7th 7/1/2017 - 6/30/2019 Yousim Oh Kim
8th 7/1/2019 - 6/30/2021 Co-President 공동회장: Hyunil Juhn & Yousim Oh Kim

 



이사진:

Board Members

  • Mark Choh
  • Sook Park Choh
  • Sara Youn Choh
  • Hyunil Juhn
  • Joong Choh
  • Byung Yoon Kim
  • Ho B. Kim
  • Hyaesung Kim
  • You Sim Kim
  • Joann Kwak-Kim
  • Lucy Park
  • Yonhee Park
  • Mark Peterson
  • Esther Yang
  • Andrew Bae

Honorary Board Members

  • Juliana Chyu
  • David Whitney
  • Aesop Rhim
  • Richard Kim
  • Chi Yong Whang
  • Young Kang
  • Young-kee Kim
  • Sidney Nagel
  • James Hahn
  • Jamie Chin
  • Steve Kim
  • Kyung Koo

 

고문 (Advisors):

Nancy Park (Violinist Chicago Symphony Orchestra)
Yumi Hwang-Williams 유미 황 (Violinist / Concert Master, Colorado Symphony Orchestra)
Yong Hi Moon 문용희 (Pianist / Faculty, Peabody Conservatory, Baltimore, MD)
HI Kyung Kim 김희경 (Composer / Professor of Music,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CA)
Geon-yong Lee 이건용 (Composer / Faculty, 한국 종합 예술대학)
Desiree Ruhstrat (Violinist / Faculty, Music Instittue of Chicago, Lincoln Trio member)
Chang Keyn Lee 이 창근 (Faculty,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경연대회 기획 위원회 위원장및 위원:

세종음악 경연대회 기획 위원회:

Kay Kim (Northwestern University, Evanston, IL),?chair
So Young Bae (Chicago Symphony Orchestra, Chicago, IL)
Sojung Hong (Judson University, Elgin, IL)
Jeong Soo Kim (Nothern Illinois University, Decatur, IL)
Misook Kim (Wheaton Conservatory, Wheaton, IL)

세종 작문 경연대회 (수필, 시조) 기획 위원회:

Heinz Insu Fenkl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New Paltz, NY),?chair?
Bruce Fulto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Seong-Kon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Young-Min Kw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David McCann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
Mark Peterson (Brigham Young University, Provo, UT)
Martha Vickery (Korean Quarterly, St. Paul, MN)

세종 국제 작곡 대회 기획 위원회:

Music Composition Competition Planning Committee:?
David Ludwig (Curtis Institute, Philadelphia, PA),?chair
Shinuh Le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Arlene Sierra (Cardiff University, Cardiff, Wales, UK)
Efstratios Minakakis (New England Conservatory, Boston, MA)
Hi Kyung Kim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ta Cruz, Santa Cruz, CA)
Geonyong Le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eoul, Korea)
Younghi Pagh-paan (University of Arts Bremen, Bremen, Germany)

운영 경비 및 후원

세종 문화회의 현재 일년 경비의 80%-85%는 기본 행사인 음악, 작문, 작곡 경연대회 및 시조 쓰기 교육과 특별 행사에 쓰여 지고 있으며, 10% - 15%는 운영 자금 모금 행사의  경비로 쓰이고 나머지 5% - 10% 정도는 일반 운영 경비로 쓰이고 있습니다.

일년 예산의 약 30% 가 일반 후원자들의 기부금으로 충당되고 40%가 이사들과 특별 후원자, 나머지 30% 정도는 여러 재단들의 보조로 충당하고 있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문학번역원, 한국 국제 교류재단, 두산 연강재단, 교보 대산 문화재단, 시카고 한국일보사와, 시카고지역 서울대학교 동창회, Juliana Chyu and David Whitney Family Foundation, Dr. & Mrs. B U Chung Fund, Illinois Arts Council, Pacific Rim Foundation, 시카고 총영사관등의 기관들의 특별한 후원을 받고 있으며, 미국 동포사회의 교민들과 또 한국과 한국 문화를 좋아하는 미국인들의 따뜻한 후원을 받고 있습니다.
각 경연대회의 경비는 주로 수상자 상금, 심사위원 경비, 경연대회 안내 공문 발송, 인쇄 경비등과 영어교사들을 위한 시조 알리기 교육및 자료 제작 배포등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 외의 많은 용역 부문들이 헌신적인 자원 봉사자님들의 노고와 또 기부 받은 용역으로 충당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과 행사관련 기사및 자료

화일 다운로드 (세종문화회 창립 배경과 활동 소개 리포트): - 2004 부터 2016년 까지 활동)  

top

www.SejongCulturalSociety.org (영문판)   |   www.SejongSociety.org (한글판)